
내년 문화재청 예산이 1조3489억원으로 편성됐다. 불교계 관심사인 문화재 관람료 감면비용 지원금은 올해 421억원에서 내년 554억원으로 31.6% 늘렸다.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은 "문화재청 예산·기금 정부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해 1조3489억원으로 편성됐다"고 29일 알렸다.
일반회계 및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는 1조 1901억원으로 올해(1조 1899억 원)보다 2억원(0.01%) 증액됐다. 문화재보호기금은 1588억 원으로 올해(1609억 원)에 비해 21억원(1.3%) 감액됐다.
분야별로는 ▷문화재 보존관리 및 보호 8145억원(문화재 보존관리 5937억 원, 문화재 보호 924억 원, 궁능원 관리 1284억 원) ▷문화재 활용 961억원 ▷문화재 국제교류 564억원 ▷문화유산 교육연구 792억 원 ▷문화재 정책기반 구축 1823억원 등이다.
주요 증액사업은 국정과제인 국가지정(등록)문화재 원형 보존을 위한 문화재 보수‧정비 469억원(4634억원→5103억원) 늘렀다.
또, 문화재 관람료 감면비용 지원금 133억원(421억원→554억원) 증액됐다. 554억원은 국가지정문화재 관리단체 사찰 65개소에 지급되는 금액이다.
국립무형유산원 분원 건립 예산이 87억원(24억원→111억 원), 문화재 국제협력(ODA)예산이 83억원(48억원→131억원) 늘었다.
예산안 편성에는 ▷매장문화재 진단조사 비용 지원(50억원) ▷사회적 약자 디지털 기반 조성(27억원) ▷창덕궁 돈화문 보수(20억원) ▷우수 이수자 전승활동 지원금 지원(17억원) ▷K-공유유산 활용기반 구축(15억원) ▷취약지역 문화유산 실태조사(11억원)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건립(2억원) 등 문화재청 내년 신규사업이 포함됐다.
한편, 윤석열 정부는 세수 감소 등을 이유로 내년 예산안을 전년도인 올해보다 총수입이 13조6000억원 감소한 612조1000억원으로 편성했다. 총지출은 18조2000억원 증가한 656조9000억원이다.
윤석열 정부는 특히 연구개발(R&D) 투자를 올해 31조1000억원에서 내년 25조9000억원으로 대폭 줄였다.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제보 cetana@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