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이초 선생님 49재일…‘공교육 멈춤의 날”
“서이초 선생님 49재일…‘공교육 멈춤의 날”
  • 서현욱 기자
  • 승인 2023.09.05 03:10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일 4대 종교 성명 “선생님들 거리로 내몬 것은 교육부와 정부”

 

4일, 서이초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49일째 되는 날, 4대 종교인들이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에 깊이 애도하며, 49재에 붙여 1일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억압이 아닌 연대와 지지가 필요한 때입니다' 제하의 성명을 발표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와 원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한국천주교 여자수도회 장상연합회 JPIC분과,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정의평화위원회 등 4대 종교단체는 이날 ‘9월 4일 공교육 멈춤의 날, 지지하고 함께 합니다’제하의 성명을 통해 “서울 서이초 선생님을 비롯하여 선생님들의 안타까운 죽음이 이어지고 있는 참담한 현실에 슬픔을 금할 수 없다.”면서 “먼저 가신 선생님들과 남겨진 유가족, 그리고 동료 교사들의 큰 슬픔과 고통에 깊은 애도의 마음”을 전했다.

4대 종교단체는 “서이초 선생님의 죽음은 망가져 가는 대한민국 교육의 현주소”라며 “우리 사회는 학생들과 눈을 마주치며 교육에 전념하기 힘든 현실, 갖은 격무에 시달리며 정서적인 고통을 홀로 감내해야 하는 현실을 외면하고, 사명감을 갖고 교단에 선 선생님들을 절망의 낭떠러지로 떠밀었다.”고 참회했다.





서이초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49일째 되는 4일, 동료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선포하고 공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4대 종교단체 종교인들은 선생님들의 행동에 함께했다. 

4대 종교단체는 “고인의 억울함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고 슬픔을 넘어 교육현장의 공공성 회복을 이루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동료의 억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참된 추모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사들의 다짐과 평화적인 행동을 위법으로 규정하고 ‘엄정 대처, 징계’등을 운운하며 교사들의 목소리를 억누르려 하고 있다.

이에 4대 종교단체들은 “우리 종교인들은 묻는다. 교사들이 부당한 현실을 호소할 때 교육부는 어디에 있었냐”면서 “누구에게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홀로 아픔을 삼키며 교육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해 가는 동안 교육부는 대체 무엇을 했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동료의 죽음을 추모하며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교사들을 범죄자 취급하는 교육부는 대체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 것이냐”면서 “선생님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아니 선생님들을 죽음으로 내몬 것은 부당한 교육 현실을 외면해 온 교육부이며 정부”라고 질타했다.

이어 4대 종교단체들은 “윤석열 정부와 교육부에 촉구한. 추모에 대한 부당한 탄압을 멈추고, 선생님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요구했다.

또 “우리 종교인들은 ‘공교육 멈춤의 날’이 슬픔을 딛고 ‘학교의 공공성 회복과 안전환 교육환경’을 만드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선생님들의 눈물과 호소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서이초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49일째 되는 4일, 동료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선포하고 공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4대 종교단체 종교인들은 선생님들의 행동에 함께했다. 

4대 종교단체는 “고인의 억울함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고 슬픔을 넘어 교육현장의 공공성 회복을 이루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동료의 억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참된 추모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사들의 다짐과 평화적인 행동을 위법으로 규정하고 ‘엄정 대처, 징계’등을 운운하며 교사들의 목소리를 억누르려 하고 있다.

이에 4대 종교단체들은 “우리 종교인들은 묻는다. 교사들이 부당한 현실을 호소할 때 교육부는 어디에 있었냐”면서 “누구에게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홀로 아픔을 삼키며 교육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해 가는 동안 교육부는 대체 무엇을 했냐”고 지적했다.





서이초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49일째 되는 4일, 동료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선포하고 공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4대 종교단체 종교인들은 선생님들의 행동에 함께했다. 

4대 종교단체는 “고인의 억울함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고 슬픔을 넘어 교육현장의 공공성 회복을 이루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동료의 억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참된 추모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사들의 다짐과 평화적인 행동을 위법으로 규정하고 ‘엄정 대처, 징계’등을 운운하며 교사들의 목소리를 억누르려 하고 있다.

이에 4대 종교단체들은 “우리 종교인들은 묻는다. 교사들이 부당한 현실을 호소할 때 교육부는 어디에 있었냐”면서 “누구에게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홀로 아픔을 삼키며 교육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해 가는 동안 교육부는 대체 무엇을 했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동료의 죽음을 추모하며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교사들을 범죄자 취급하는 교육부는 대체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 것이냐”면서 “선생님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아니 선생님들을 죽음으로 내몬 것은 부당한 교육 현실을 외면해 온 교육부이며 정부”라고 질타했다.

이어 4대 종교단체들은 “윤석열 정부와 교육부에 촉구한. 추모에 대한 부당한 탄압을 멈추고, 선생님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요구했다.

또 “우리 종교인들은 ‘공교육 멈춤의 날’이 슬픔을 딛고 ‘학교의 공공성 회복과 안전환 교육환경’을 만드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선생님들의 눈물과 호소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동료의 죽음을 추모하며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교사들을 범죄자 취급하는 교육부는 대체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 것이냐”면서 “선생님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아니 선생님들을 죽음으로 내몬 것은 부당한 교육 현실을 외면해 온 교육부이며 정부”라고 질타했다.

이어 4대 종교단체들은 “윤석열 정부와 교육부에 촉구한. 추모에 대한 부당한 탄압을 멈추고, 선생님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요구했다.

또 “우리 종교인들은 ‘공교육 멈춤의 날’이 슬픔을 딛고 ‘학교의 공공성 회복과 안전환 교육환경’을 만드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선생님들의 눈물과 호소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서이초 선생님이 세상을 떠난 지 49일째 되는 4일, 동료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선포하고 공교육을 바로 세우기 위한 행동에 나섰다. 4대 종교단체 종교인들은 선생님들의 행동에 함께했다. 

4대 종교단체는 “고인의 억울함을 자신의 것으로 끌어안고 슬픔을 넘어 교육현장의 공공성 회복을 이루기 위해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며 “동료의 억울한 죽음을 외면하지 않고 참된 추모가 무엇인지를 몸소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교사들의 다짐과 평화적인 행동을 위법으로 규정하고 ‘엄정 대처, 징계’등을 운운하며 교사들의 목소리를 억누르려 하고 있다.

이에 4대 종교단체들은 “우리 종교인들은 묻는다. 교사들이 부당한 현실을 호소할 때 교육부는 어디에 있었냐”면서 “누구에게도 보호받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홀로 아픔을 삼키며 교육자로서의 사명을 감당해 가는 동안 교육부는 대체 무엇을 했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동료의 죽음을 추모하며 더 나은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행동하는 교사들을 범죄자 취급하는 교육부는 대체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치고 싶은 것이냐”면서 “선생님들을 거리로 내몬 것은, 아니 선생님들을 죽음으로 내몬 것은 부당한 교육 현실을 외면해 온 교육부이며 정부”라고 질타했다.

이어 4대 종교단체들은 “윤석열 정부와 교육부에 촉구한. 추모에 대한 부당한 탄압을 멈추고, 선생님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요구했다.

또 “우리 종교인들은 ‘공교육 멈춤의 날’이 슬픔을 딛고 ‘학교의 공공성 회복과 안전환 교육환경’을 만드는 소중한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선생님들의 눈물과 호소를 지지한다.”고 밝혔다.
 

[이 기사에 대한 반론 및 기사 제보 mytrea70@gmail.com]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서이초 선생님 2023-09-28 09:15:42
선생님 명복을 빕니다
근데 어찌 이리 못난 짓을 하셨는지?
학교선생하면 우리나라 1등급 직업이고 다달이 고수입은 물론이고 두달에 한번식 보너스까지
타가시면서 학생들. 학부모 등등 인간관계는 어쩔수없이
생기는 문제이니 차라리 적성에 맞지 않으면 사표를 던지고 딴일자리 알아보시지
안타깝고
요즘 학교선생님들 대모 하는건 이건 좀 아니라는 생각이 강하게 드네요
사회에 나와보시면 피눈물 흘리며 생계유지 하는 일이 다반사 인데
대모는 다큰 어른이 어리광 부리는것처럼 억지스럽고 거부감 드네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11길 16 대형빌딩 4층
  • 대표전화 : (02) 734-7336
  • 팩스 : (02) 6280-2551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석만
  • 대표 : 이석만
  • 사업자번호 : 101-11-47022
  • 법인명 : 불교닷컴
  • 제호 : 불교닷컴
  • 등록번호 : 서울, 아05082
  • 등록일 : 2007-09-17
  • 발행일 : 2006-01-21
  • 발행인 : 이석만
  • 편집인 : 이석만
  • 불교닷컴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불교닷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dasan2580@gmail.com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