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린 제21회 현충재 [운암사업회 제공재]
제68회 현충일인 6일 운암 김성숙 선생의 우국 충절을 기리는 제21회 현충재(顯忠齋)가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렸다.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와 범패와작법무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는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태허 스님(운암 김성숙)을 기리는 세 번째 현충재이다.
예능보유자 능화스님과 인천무형문화재 범패와작법무보존회 회원 30여 명이 참여했다. 여는 의식, 받드는 의식, 펼치는 의식, 회향 의식 순으로 거행됐다.
범패와작법무보존회는 2003년부터 매년 현충재를 봉행하고 있다. 운암사업회는 9일까지 남인천우체국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우표전시회도 개최한다.
우표에는 운암 김성숙선생의 차남인 두건(杜鍵. 전 북경대 중앙미술학원 유화학부 부학장)선생이 직접 그린 김성숙 선생과 두쥔훼이 여사의 초상화를 첫 선보인다.
우표에 들어갈 운암 김성숙 선생 초상화](/news/photo/202306/1_263639_254232_445.jpg)
제68회 현충일인 6일 운암 김성숙 선생의 우국 충절을 기리는 제21회 현충재(顯忠齋)가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렸다.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와 범패와작법무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는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태허 스님(운암 김성숙)을 기리는 세 번째 현충재이다.
![6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린 제21회 현충재 [운암사업회 제공재]
제68회 현충일인 6일 운암 김성숙 선생의 우국 충절을 기리는 제21회 현충재(顯忠齋)가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렸다.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와 범패와작법무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는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태허 스님(운암 김성숙)을 기리는 세 번째 현충재이다.
예능보유자 능화스님과 인천무형문화재 범패와작법무보존회 회원 30여 명이 참여했다. 여는 의식, 받드는 의식, 펼치는 의식, 회향 의식 순으로 거행됐다.
범패와작법무보존회는 2003년부터 매년 현충재를 봉행하고 있다. 운암사업회는 9일까지 남인천우체국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우표전시회도 개최한다.
우표에는 운암 김성숙선생의 차남인 두건(杜鍵. 전 북경대 중앙미술학원 유화학부 부학장)선생이 직접 그린 김성숙 선생과 두쥔훼이 여사의 초상화를 첫 선보인다.
우표에 들어갈 운암 김성숙 선생 초상화](/news/photo/202306/1_263639_254234_4551.jpg)
예능보유자 능화스님과 인천무형문화재 범패와작법무보존회 회원 30여 명이 참여했다. 여는 의식, 받드는 의식, 펼치는 의식, 회향 의식 순으로 거행됐다.
범패와작법무보존회는 2003년부터 매년 현충재를 봉행하고 있다. 운암사업회는 9일까지 남인천우체국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우표전시회도 개최한다.
우표에는 운암 김성숙선생의 차남인 두건(杜鍵. 전 북경대 중앙미술학원 유화학부 부학장)선생이 직접 그린 김성숙 선생과 두쥔훼이 여사의 초상화를 첫 선보인다.
![6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린 제21회 현충재 [운암사업회 제공재]
제68회 현충일인 6일 운암 김성숙 선생의 우국 충절을 기리는 제21회 현충재(顯忠齋)가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열렸다.
운암김성숙선생기념사업회와 범패와작법무보존회가 공동 주관한 이날 행사는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지낸 태허 스님(운암 김성숙)을 기리는 세 번째 현충재이다.
예능보유자 능화스님과 인천무형문화재 범패와작법무보존회 회원 30여 명이 참여했다. 여는 의식, 받드는 의식, 펼치는 의식, 회향 의식 순으로 거행됐다.
범패와작법무보존회는 2003년부터 매년 현충재를 봉행하고 있다. 운암사업회는 9일까지 남인천우체국과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에서 우표전시회도 개최한다.
우표에는 운암 김성숙선생의 차남인 두건(杜鍵. 전 북경대 중앙미술학원 유화학부 부학장)선생이 직접 그린 김성숙 선생과 두쥔훼이 여사의 초상화를 첫 선보인다.
우표에 들어갈 운암 김성숙 선생 초상화](/news/photo/202306/1_263639_254233_451.jpg)
운암 선생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좌·우 통합에 앞장서며 충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했다. 1945년 해방을 맞아 환국을 준비하면서 임시정부에서 ‘약법 3장’을 통과시켰다. 해방 후, 이승만·박정희 독재정권과 맞서 싸우며 혁신정당인 신민당 창당의 주역으로 대한민국의 민주화 정립에 헌신하다 지난 1969년 4월 12일 동지들이 비나 피하라고 마련해준 ‘피우정’에서 서거했다.
저작권자 © 불교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응원합니다." 불교닷컴 자발적 유료화 신청